전체 글(324)
-
📚기버1 | 밥버그 | 포레스트북스(2020)
'베푸는 사람'은 말 그대로 '주는 사람'이다. 즉 타인에게 집중하고 관심을 가지고 시간과 에너지를 내어주며 다른 사람의 삶에 가치를 제공하라는 메시지이다.(9) 성공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비결을 다른 이들과 기꺼이 나누려고 한다.(27) 성공한 사람들은 남에게 주거나 나누는 일에 집중한다(32) "당신의 진정한 가치는 자신이 받는 대가보다 얼마나 많은 가치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53) '다른 사람을 만족시키는가? 그들에게 가치를 더해주는가?' 대답이 긍정이라면 계속 전진하게. '돈이 되나?'라는 질문은 그다음에 묻는 걸세." 핵심은 그들이 더 많이 돌려주게 만드는 게 아니야.(54) 자네가 더 많이 주는 게 중요하지. 주고, 주고, 또 주는 거야. "세상에 모든 위대한 부는 타인에..
2025.05.14 -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가 온다 | 최태원 | 한스미디어(2018)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소비 방식에 변화가 오고,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가 등장한다. 소비 개성을 찾기 시작한다. 좋은 대학, 대기업 취업, 결혼, 출산으로 이어지는 인생 공식에 목매지 않고,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에 지장이 없는 수준의 수입을 버는 소규모 사업들이 번성하는 것이다.(5) 진정한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란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함께 좋아해 주는 고객들과 함께 즐기고, 이것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하고 그 매력에 끌어들이는 새로운 접근 방식의 비즈니스다. 인터넷과 모바일의 발전은 한 조직이 가지는 정보의 독점 기간을 매우 짧게 만들고 있다. 반면에 소비자는 직감적으로 기업과 광고의 진정성을 파악해 내며, 언어장벽 없이 전 세계로부터 정보를 얻고 평가한다. ..
2025.05.13 -
📚생각의 비밀 | 김승호 | 황금사자(2015)
1. 성공은 습관에서 온다 매장 10개 가진 회사가 매장 300개를 꿈꾸면 누군가는 비웃고 누군가는 흥분한다. 매장 300개를 보고도 매장 3000개를 말하면 누군가는 포기하고 누군가는 가슴이 뛴다. 도시락을 팔아서 대기업이 될 수 있다 말하면 누군가는 돌아서고 누군가는 상장을 생각한다. 나는 한계를 느끼지 않았다. 나는 항상 새로운 계획에 흥분하고 가슴이 뛴다. p. 12 나는 말의 힘을 믿는 사람이다. 한번 말을 하고 나면 잊기 전까지 그 힘이 사라지지 않음을 믿는다. 그리고 그 말에 힘을 부여하고 계속해서 그 힘이 사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 액자에 써서 걸어놓거나 그에 알맞은 이미지를 만들어 포스터로 제작하여 걸어놓는다. p 15 내 생각을 끊임없이 자극할 만한 환경만 만들어주면 무엇이든지 얻게 된..
2025.05.13 -
📚요즘 애들에게 팝니다 | 김동욱 | 청림출판(2020)
"밀레니얼 못 잡으면 10년 내 사라질 한국 기업 많다."(8) 요즘 시대에 살아남아 돈을 벌자면 '요즘 애들'의 생각과 구매 방식 그리고 구매 동기를 알아야 한다.(10) 요즘 애들 앞에서는 아무나 쉽게 1등을 말할 수 없다. 그들은 1등이라는 성적표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시도로 이뤄낸 것들, 그 과정에 대한 스토리로 브랜드를 판단한다. 최고가 아니라 최초로 이룬 그 무언가에 매력을 느끼는 것이다.(18) 하지만 세상이 달라졌다. 완벽을 추구하느라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는 동안 다른 누군가가 반드시 그걸 먼저 한다. 그렇게 시작도 못해보고 좌초되기 십상인 게 요즘 세상이다. 최초가 되고 싶다면 먼저 시작부터 하고 저질러 놓고 나서 완벽은 그 이후에 다져나가야 한다.(21)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2025.05.12 -
📚초격차(리더의 질문) | 권오현 | 쌤앤파커스(2020)
삼성을 비롯해 우리나라 기업 대부분은 지난 20~30년 동안 '관리' 중심의 경영을 해왔고, 이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런 기업 문화에서 '일 잘하는 사람'은 '실수 안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고착화되었습니다(18) 지금은 카피할 게 없는 시대입니다. 다른 나라, 다른 기업과 유사한 사업 모델을 따라 하는 기업이 여전히 있기는 하지만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20) 경영자는 '최소의 인풋'으로 '최대의 아웃풋'을 내기 위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행하며 모든 것을 책임지는 사람입니다(23) 경영에서 실적이 중요한 것은 맞지만 실적만을 강조하면 장기적으로는 폐해를 남길 가능성이 크다는..
2025.05.11 -
📚오픈 리더십 | 쉘린 리 | 한국경제신문사(2011)
예전 같으면 꿈쩍도 하지 않을 거대 기업도 한 사람 개인의 힘으로 뒤흔들 수 있는 시대다.(6) 사람들이 어떤 새로운 개념을 접하게 되면, 처음에는 그 개념 자체에 대해 알고 싶어 하다가 나중에는 그것을 활용 방안으로 관심을 옮겨간다는 점이다.(7) 오픈 리더십의 6가지 새로운 원칙(17~18)1. 목표 달성을 위한 헌신을 이끌어내는 동안 통제의 욕구를 포기할 수 있는 자신감과 겸손함'을 갖는 것이다.2. 고객과 직원이 힘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존중하는 것이다.3.'신뢰를 쌓기 위해 끊임없이 공유'하는 것이다. 온라인상에서의 신뢰는 생각의 공유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도구는 이런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줬다. 4.'호기심과 겸손함을 가지라'는 것이다...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