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진주(59)
-
📚부의 골든타임 | 박종훈 | 인플루엔셜(2020)
지금까지 세계경제는 대체로 8~12년을 주기로 부채사이클을 겪으며 성장해왔다(9) 부채 사이클(9)1단계:골디락스(불황을 딛고 실물경제 회복)2단계:버블(부채가 급증하며 호황의 절정)3단계:버블 붕괴(자산 가격 급락과 경제 위기 동반)4단계:불황(부채가 해소) 2단계인 버블과 3단계인 버블 붕괴 사이에는 부의 미래를 가르는 지각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부의 골든타임을 꿈꾸는 이들에게 결정적인 기회가 주어진다(9) 님티(MIMTE):Not in my term(10)내 임기만 아니면 된다는 뜻으로 골치 아픈 문제를 당장 해결하지 않고 차기 정부로 떠넘기는 현상 호황기의 빚은 경제성장을 가속화하는 고마운 존재다. 만일 부채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인류의 진보는 지금보다 훨씬 더뎠을 것이다. 하지만 버..
2025.04.29 -
📚후천적 부자 | 이재범 | 프레너미(2016)
나이는 정말 숫자에 불과하다. 후천적 부는 20대에 시작해서 40대에 이룰 수도 있고, 40대에 시작하여 60대에 이룰 수도 있다. 60대라면 지금부터 투자를 해서 노후를 여유 있게 즐기면 된다. 투자를 하기에 앞서서 또 한 가지 해야 할 일은 '부'의 개념을 바로 세우는 것이다. 먹고사는 데 지장이 없을 만큼 부를 축적했다면 액수가 얼마가 되었든 간에 부자라고 할 수 있다.(7) 부자의 개념은 상대적이다. 물론 먹고 사는 데 불편함은 없지만 몇 달 지나지 않아 가진 돈이 바닥나는 상황이라면 부자라고 할 수 없다. 진정한 부자가 되고 싶다면 '돈'과 돈 관리하는 능력'을 함께 키워야 한다. 타인의 시선을 버려라.(16) 진짜 중요한 것은 자기 삶을 지킬 수 있는 돈과 능력을 가지고 있느냐이다. 재..
2025.04.28 -
노희영의 브랜딩 법칙 | 노희영 | 21세기 북스(2020)
새로운 창조보다 '한 끗'차이를 만든다(15) 가능한 만큼의 성공이 아닌 꿈꾸는 만큼의 성공을 준비한다(17) 트렌드를 현실에 반응하는 첫 번 째 도전자가 돼라(19) 나는 늘 위기가 올 때 생각한다. 위기와 기회는 항상 같은 타이밍에 온다고. 그것이 위기인지 기회인지 인간의 능력으로는 감지할 수 없고, 시간이 흐른 뒤에야 알 수 있다. 다만 인간의 힘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은 위기와 기회의 오차 범위를 최대한 줄이고자 노력하는 것이다(26) 괜한 싸움은 의미가 없다. 이길 만한 힘을 가질 때까지는 참아야 한다. 그래서 나는 목적이 있을 때는 누군가 싸움을 걸어도 매우 침착하게 대응한다(34) 기존의 상품을 철저하게 바탕에 두고 재료와 만드는 방법을 살짝 비틀 때, 소비자에게 익숙하면서 ..
2025.04.19 -
📚에이트 씽크 | 이지성 | 차이정원(2020)
인공지능이 보여주는 공감과 창조능력은 냉정히 말해서 가짜다. 인공지능에게는 학습하는 능력만 있을 뿐 생각하는 능력은 없기 때문이다(17) 나보다 나를 더 잘 알고 있는 존재는 누구일까? 나일까? 아니면 스마트폰 속에 있는 인공지능일까?(19) 한국인의 99.997퍼센트가 인공지능에게 대체되어 프레카리아트로 (난민 수준의 사회적. 경제적 삶을 사는 계급) 떨어지는 미래가 좀 더 일찍 시작된다는 것이다(20) 인공지능에게 대체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먼저 인공지능에게 대체되지 않는 생각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인공지능의 학습능력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위대한 생각을 할 수 있어야 한다(29) 만일 토머스J.왓슨이 'Think'를 사훈으로 내걸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IBM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지난 1..
2025.04.18 -
📚지속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사피엔스를 위한 가이드 | 김선우 | 카시오페아(2021)
우리는 지금 사는 방식대로 변하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을 '앤드 오브 히스토리 일루전 (End of history illusion)'이라고 부른다(17) 이젠 워라벨(Work Life Balance)이 아니라 워라클(Work Life Cycle)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뜨고 있다. 일과 삶은 균형을 맞추는 대상이 아니라 순환의 대상이라는 얘기다(19) 사람은 멍을 때리거나 빈둥거릴 때 뇌에서 '디폴트 모드'라는 네트워크가 활성화된다. 이때 인간의 뇌는 가장 독창적으로 생각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한다(23) 세계은행은 산업 때문에 발생하는 수질오염 중 20%가 의류산업 때문이라고 밝혔다. 맥킨지는 전체 탄소 배출량의 10%는 의류업계..
2025.04.17 -
📚코로나 이후의 세계 | 제이슨 섕커 | 미디어숲(2020)
코로나19로 인 오늘날 경제는 이러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더 큰 기회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 쇼핑과 소비가 전자 상거래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꼭 필요하지 않은 대면 서비스 직업은 대체로 위태로우며, 이 직업들은 사라질 것이다.(17)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모든 우려에도 불구하고 감사한 한 가지는 전자 상거래와 재택근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심각한 인명 피해와 손실이 발생한 가운데서도 기회는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기회란 가장 어려운 시기에도 장기적으로 공중 보건, 교육, 경제적 결과를 향상할 방법이 있다는 얘기다.(18)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자 상거래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았다. 이제 전자 상거래는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필수품이 되었다. 향후 그 입지는 훨씬 더..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