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진주(영혼,마음경영)(67)
-
📚하버드 마지막 강의 | 제임스 라이언 | 비즈니스북스(2017)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말했다. 나에게 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처음 55분은 적절한 질문을 결정하는 데 쓸 것이다(8) 질문의 가치를 극대화하려면, 즉 좋은 질문을 하려면 삼박자가 잘 맞아야 한다. '적절한 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라' 이런 삼박자를 갖춘 질문은 좋은 대답을 가져오고 삶의 문제를 해결해 준다(17) 좋은 질문은 남녀노소, 직업에 상관없이 성공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한다(17) 수준 높은 질문은 수준 높은 삶을 만든다(18) 의문은 현재의 삶에 머물게 하지만, 질문은 미래의 삶을 바꾼다(21) 답을 구하기 위해 적절한 질문을 하는 능력이 있다면, 절반 이상은 이기고 시작하는 셈이다-토마슨 왓슨(47) "왜 그럴까?"는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유지하게 해주는 질문..
2025.05.21 -
📚탁월한 인생을 만드는 법 | 마이클 하얏트 | 안드로메디안(2019)
우리는 누구나 장애물을 마주한다. 제한적 믿음은 장애물을 넘지 못하도록 방해하지만, 해방적 진실은 장애물을 뛰어넘고 주변 환경까지 개선한다.(33) 이루지 못한 목표와 개인적 성공 간의 주요한 차이점은 무엇보다도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36) 흑백 사고: 우리는 완벽하게 해내지 못하면 실패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현실은 상황에 따라 차등해서 적용되는 슬라이딩 스케일이지 on/off처럼 둘 중 하나만 선택하는 토글스위치가 아니다.(43) 과도한 뉴스는 당신을 우울하고 불안하게 할 수 있으며, 대개 고조되는 내용에 변화를 주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능력을 당신에게 제공하지도 못한다. 뉴스에 귀를 기울이면, 세상이 갈수록 험악해진다고 믿기 쉽다. 뉴스 매체들이 이렇게 부정적 소식만 보여주는 이..
2025.05.19 -
📚졸업선물 | 신영준 | 로크미디어(2016)
자신 말고 주변 사람을 잘되게 해 준다. 함께 잘되면 모멘텀이 커진다. 그래서 더 큰 성공을 한다 (5) 행복의 기준을 성장에 둔다. 어제보다 1%만 성장하면 1년 뒤면 37배 성장하고 10년 뒤면 '6000조'배 성장한다.(6) 왕성한 호기심 + 집요함 궁금하니까 그래서 그냥 더 깊게 계속 파고들어 가다 보니까 결국 위대한 업적을 이룬 것이다.(6) 세상을 다르게 해석하는 능력을 만든다 재해석을 얼마나 탁월하게 하느냐의 문제이다.(6) 인생의 모순을 인정한다. 플랜B를 한 가슴에 담아야 한다.(6) 자신감보다는 자존감, 진지함보다는 유쾌함.. 99%의 유쾌함과 1%의 진지함으로 꽉 찬 인생을 만들자.(5~6) 프레임 마스터가 된다. 결국 어떤 환경이 그에 상응하는 의지를 우리에게 심어주는..
2025.05.17 -
📚기버1 | 밥버그 | 포레스트북스(2020)
'베푸는 사람'은 말 그대로 '주는 사람'이다. 즉 타인에게 집중하고 관심을 가지고 시간과 에너지를 내어주며 다른 사람의 삶에 가치를 제공하라는 메시지이다.(9) 성공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비결을 다른 이들과 기꺼이 나누려고 한다.(27) 성공한 사람들은 남에게 주거나 나누는 일에 집중한다(32) "당신의 진정한 가치는 자신이 받는 대가보다 얼마나 많은 가치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53) '다른 사람을 만족시키는가? 그들에게 가치를 더해주는가?' 대답이 긍정이라면 계속 전진하게. '돈이 되나?'라는 질문은 그다음에 묻는 걸세." 핵심은 그들이 더 많이 돌려주게 만드는 게 아니야.(54) 자네가 더 많이 주는 게 중요하지. 주고, 주고, 또 주는 거야. "세상에 모든 위대한 부는 타인에..
2025.05.14 -
📚지속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사피엔스를 위한 가이드 | 김선우 | 카시오페아(2021)
우리는 지금 사는 방식대로 변하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을 '앤드 오브 히스토리 일루전 (End of history illusion)'이라고 부른다(17) 이젠 워라벨(Work Life Balance)이 아니라 워라클(Work Life Cycle)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뜨고 있다. 일과 삶은 균형을 맞추는 대상이 아니라 순환의 대상이라는 얘기다(19) 사람은 멍을 때리거나 빈둥거릴 때 뇌에서 '디폴트 모드'라는 네트워크가 활성화된다. 이때 인간의 뇌는 가장 독창적으로 생각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한다(23) 세계은행은 산업 때문에 발생하는 수질오염 중 20%가 의류산업 때문이라고 밝혔다. 맥킨지는 전체 탄소 배출량의 10%는 의류업계..
2025.04.17 -
📚청년아 울더라도 뿌려야 한다 | 이재철 | 홍성사(2001)
우리 교회에서 고전독서모임을 이 책으로 하길래 중고서점까지 구해서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은 아주 오래된 책이지만 지금의 청년들과 나의 청년의 때를 돌아보며 읽기에 아주 유익했다. 시대가 변해가도 변하지 않는 진리, 그 진리의 기준을 이 책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 1. 하나님의 플러스알파 그의 오늘은 그의 내일과 직결될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내일과 연결되는 까닭에, 나는 청년들을 '현존하는 미래'라고 부르는 것이다. p. 9 청년이 오늘을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그 가족의 미래의 질이 결정된다. 이것을 아는 청년들이라면 청년 시절을 결코 의미 없이 소진해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p. 11 자신에게 주어진 청년 시절을 책임과 최선을 다해 가꾼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첫째, 지금 ..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