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하루에 백 번 싸운다 | 조우정 | 인플루엔셜(2019)

2025. 6. 30. 17:10책속진주(리더십,경제경영)

 
리더는 느끼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직원들은 리더의 말과 행동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한다. 리더의 단점, 일하는 습관과 방식 등은 그대로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31)
 
리더가 직원들의 의견을 물어보는 행위 그 자체가 중요하다(37)
 
직원들이 자신의 입장을 정확히 밝히지 않는 이유를 그들의 탓으로만 돌려서는 안 된다. 평소 리더의 제안에 반대 의견이 나왔을 때 리더가 어떤 식으로 대응했느냐가 직원들의 태도를 결정한다. 반대 의견을 내는 직원에게 리더가 화를 내거나, 혹은 자신의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무리수를 쓴다면 어느 직원이 자신의 의견을 리더에게 소신껏 제시할 수 있는가?(37)
 
결국 CEO는 직원들의 최대 역량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의견을 들어봐야 한다(38)
 
리더는 절대 모든 일을 혼자 결정하고 처리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그렇게 하다 보면 직원은 더 이상 의견을 내지 않는다. 리더 혼자 결정한 일에 대해서 직원들은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고 최선을 다하지도 않는다(39)
 
상은 가뭄 끝에 내리는 단비 같아야 한다(58)
 
CEO에게 엄격함과 위엄은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친근함과 인센티브 등으로 동기부여를 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CEO의 위엄이 조직원들을 단결시키고, 그들의 흐트러진 마음을 바로잡게 하는 동력이 된다(68)
 
사람은 나쁜 것을 더 오래 기억한다(69)
 
사람과의 관계는 시작할 때보다 끝낼 때가 더 중요하다(72)
 
CEO의 여러 역할 중 중요한 한 가지는 '제대로 된 피드백을 통해 직원들을 긴장하게 하고 성장시키는 일'(84)
 
인기에 영합하는 리더쉽은 위험하다(88)
 
하급의 군주는 자기의 능력을 모두 사용하고 중급의 군주는 다른 사람의 힘을 모두 사용하며 상급의 군주는 다른 사람의 지혜를 모두 사용한다(99)
 
CEO는 영화를 연출하는 감독이지 영화의 주인공이 아니다(102)
 
팀원일 때는 자신이 맡은 부분만 열심히 하면 되지만, 팀장이 되면 혼자만 잘해서는 안 되고 팀원들의 역량을 결집해서 더 많은 성과를 이끌어내야 한다(104)
 
리더에게는 모든 일을 다 해내기보다 팀원들이 더 열심히 자신의 과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그 과정에서 엄정한 상벌을 집행하는 능력이 더욱 우선시 되어야 한다(104)
 
자신이 나서지 않고 신하를 잘 통솔함으로써 일이 되게 하는 리더쉽(105)
 
리더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연주자들의 조화를 끊임없이 고려해야 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유능함에 심취해 원맨쇼를 하려는 사람은 지휘자가 될 수 없다. 훌륭한 지휘자는 굳이 연주를 잘하지 않아도 괜찮다. 탁월한 연주자들을 발탁해서 그들이 연주를 잘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주고 이끌어주면 된다(108)
 
"여기 자신보다 더 나은 사람을 쓸 줄 알았던 사람 잠들다" - 카네기 묘비 리더의 역량은 경청에서 시작된다(117)
 
비어 있어야 채울 수 있는 법이다. 하지만 CEO를 비롯한 리더들 가운데에는 너무 꽉 차 있는 사람들이 많다(118)
 
조직이 균일화된 상태라면 이질적인 구성원이 합류했을 때 리더가 그에게 어느 정도 힘을 실어주면서 기존 조직원들을 긴장하게 할 수도 있다(125)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비결이란 이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다. 스스로 하고 싶은 마음이 일게 하는 것, 바로 이것이 비결이다. 어떻게 해야 스스로 하고 싶은 마음이 일어날 것인가? 그들을 추어 주어 스스로가 중요한 인물이라고 느끼게 만들면 된다. 그 뿐이다(141)
 
"당신은 내게 아주 중요한 사람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해줌으로써 상대방의 마음을 열어주는 마법 같은 작용을 하기도 한다(142)
 
리더는 오히려 모든 의견이 한 가지 방향으로 통일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158)
 
만일 같은 의견만이 나올 경우에는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한 후에 적극적으로 다른 의견들을 들어야 한다는 것이 한비자의 조언이다(159)
 
리더의 심리 상태는 조직 전체로 빠르게 전파된다. 리더가 작은 두려움에 휩싸이면 조직은 공포에 떨게 되고, 난관을 만나도 리더가 용기와 투지를 불태우면 조직은 그런 리더를 보고 다시 힘을 얻는다. 조직의 감정 수준은 리더의 감정 수준 이상을 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236)
 
진정한 리더의 내공은 위기 상황에서 드러나는 법이다. 리더의 자리에 있는 한 조직 구성원들 앞에서 두려움을 내색해서는 안된다(239)
 
어제는 정답이었던 것이 오늘과 내일의 상황에서는 정답이 아닐 수 있다(278)
 
하늘은 우리를 위해 비를 내리지 않고, 땅은 우리를 위해 꽃을 피워내지 않는다. 산에 오르려 하면 폭우가 내리고 바다로 떠나려 하면 풍랑이 인다. 이것이 인생이요, 사업이다(28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