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아, 돈 공부 해야한다 | 정선용

2023. 5. 11. 13:35책속진주(리더십,경제경영)

 

경제생활이란?
직업의 본질은?
블루오션vs레드오션?
에 대해 궁금하다면 읽어보아야 할 책


25년 동안 쉬지 않고 일했는데,
왜 아직도 이렇게 살기 힘든가?
아들아, 나는 수천 번 이 질문을 던졌다(5)

종잣돈의 가치를 아는 것이
경제 공부의 핵심이다.
왜냐하면, 21세기는 돈이 돈을 버는,
금융자본주의 시대이기 때문이다(9)

1.부의 계단편


돈 맛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고 한다.
첫째, 아까는 맛이다.
둘째, 잘 쓰는 맛이다.
셋째, 모으는 맛이다(18)

인생은 멀리서 보면 아름답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일상의 얼룩이 자욱하다(24)

경제생활이란 밥을 벌고, 밥을 먹는 행위이다.
또 우리 삶은 밥이라는
경제적 토대 위에 서 있는 건축물이다.
우리 삶은 일과 노동을 통해서
밥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연속이다(24)

이제는 돈이 돈을 벌어
밥을 먹여주는 시대다(25)

'자'로 시작해
'가'가 되어라(27)

직업의 본질은 돈이다
돈을 버는 것이 직업의 본질이다.
직업은 처음부터 돈 버는 일이 핵심이고,
자아실현은 그 일을 하다가 발생하는
부수적인 결과물이다(30)

전문가들은 너희에게
복잡한 지식을 가르친다.
그렇게 복잡하게 가르쳐야 오래 가르치고,
밥벌이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33)

배움에 있어서 중요한 건 목적이다.
본질을 명확하게 깨우치려면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배우면 된다. 목적을 가지는 것,
그 하나만으로도 배움의 깊이가 확연하게
달라진다(33)

부의 계단(34)
아동기: 돈을 벌지 않고 소비만 하는 시기
청년기: 근로소득을 버는 시기
장년기: 사업소득을 버는 시기
노년기: 자본소득을 성취한 시기

청년기에 고정적인 월급으로
종잣돈 모으는 원리를 깨우쳐야,
적은 돈이 쌓여 큰 돈이 되는 원리를
배울 수 있다.
청년기에는 철저하게
근로소득의 원리에 대해서 익혀두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근로소득을 통해서
사실은 사업소득을 배우는 시기이기
때문이다(35)

직장이란 돈 받고 배우는 학교라고 생각한다.
학교가 돈 내고 배우는 공간이라면,
직장은 돈 받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이다(36)

장년기는 사업소득에 집중하는 시기다.
40대 중반부터 60대 중반까지이다.
청년기에 근로소득의 원리를
탄탄하게 배운 사람이
뛰어들어야 성공한다(36)

월세는 오래 살면 살수록 돈이 더욱 없어진다.
서민이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먼저 월세에서 벗어나야 한다(41)

2. 절약편


과학과 예술, 삶과 행복의 토대가
바로 경제이기 때문이다(63)

경제 감각이 있는 사람은 원금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않는 이자가 원금에 보태져
삶을 좌우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복리 효과는 산술적인 논리와
눈에 보이는 규칙을 넘어서는 삶의 마법이다(72)

복리 효과는 눈에 보이지 않는 효과다.
성공하는 삶에 반드시 따라다니는 법칙이
바로 복리효과이다(73)

돈이 오는 길 이정표에는
소득이 아니라 지출이라고 쓰여있다(76)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소득은 후순위고, 지출이 선순위다.
사실 그 적은 돈을 어떻게 지출하는지,
어떻게 경제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돈은 모이기도 하고 달아나기도 한다(78)

자식 농사는 다들 무탈한 것,
그것만으로도 최고 수익률이 되는 투자이다(80)

소비 감각을 키워야 한다.
물건을 보는 눈, 그 물건의 가치를 정하는
판단력, 그 물건을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이
소비감각이다(90)

아침에 잠자리를 정돈하는 건
사소한 일이 아니다.
하루에 가장 중요한 일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사소한 걸
꾸준하게 하는 사람들이다(93)

세금의 구조를 잘 아는 사람이 부자이고,
세금은 머리 아프다고 피하는 사람이
서민이다(103)

부자들은 절세를 통해서
돈을 모으는 방법을 아는 사람들이다(103)

3. 투자편


주식이 없었다면 자본주의는 지금처럼
발전하지 못했을거다.
주식 시스템은 자본주의의 꽃이다(127)

빌게이츠, 알리바바의 마윈,
페이스북의 마크 저크버그는
자기 돈을 가졌던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돈을 투자받을 수 있는 능력,
사업확장 능력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 능력을 신뢰해서 투자했다(141)

이 아버지보다 너희 세대는 노후 대책을
준비하는 게 더 힘들어진다.
왜냐하면, 너희 세대는
세금부담률이 높아지고,
노인 일자리 부족 현상이
더 심화되기 때문이다.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삶의 기본 설계를
단단히 해야 한다.
자칫 국가만 믿고 있다가는
감당하기 힘든 노년으로 내던져질 수 있다(147)

경제호황에는 돈 많은 부자들에게
세금을 걷어서 충당하먼 되었다.
그러나 경제 불황에는
부자와 기업만으로는
세금이 부족하다.
그러니 만만한 서민의 주머닛돈을
탈탈 털어 빼앗아간다(147)

세금과 은행은 서민과 절대로
친구가 될 수 없다.
서민의 주머니에서 돈을 빼갈 궁리만
하는 곳이다(148)

서울 시내에 건물을 가진 건물주가 되어라.
흔들리지 않는 뿌리깊은 자산은
건물과 땅뿐이다(148)

퇴직 걱정 없이 평생 일할 수 있는
안전 직장을 확보해라.
절대 잘리지 않는 직장은
네가 사장이 되는 방법 밖에 없다(148)

노년에 경제 자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도권 내 든든한 집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경제적인 완생을 할 수 있다(154)

금의 속성
첫째, 금은 그 물리적 가치가
변하지 않는 광물이다.
둘째, 금의 가격은 돈의 가치 하락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셋째, 금은 언제든지 현금화 가능한
안전 자산이다(161)

일의 밑바닥에서 본질을 발견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
모든 일은 대부분 더럽고 귀찮은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177)

4. 인생편


가난을 대물림한다는 건,
단순히 물질적인 대물림이 아니다.
습관의 대물림이다(214)

소득은 개인이 관여할 수 없는 영역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소비는 개인의 통제권 내에 있다.
소득은 관계 변수지만,
소비는 독립 변수이다.
너는 독립 변수인 소비를 통제하면서
경제적 순리 위에 너의 삶을
올려놓아야 한다(221)

아들아, 결혼은 경제적 계약이다(223)

아버지는 코로나19 이후
10년에 주목하고 있다.
부의 이동은 역사적 격변 이후에 발생한다.
그래서 지금의 바이러스와
디지털에 의해서
벌어진 전쟁같은 격변이후 10년 동안
부의 이동이 대대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본다(244)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마태복음 25장 29절의 말씀이다.
21세기는 빈부 편차의 골이
점점 깊어질 것이다.
없는 집안은 그 없는 것마저도
빼앗기는 세상이 될 수 있다(245)

근대 이전은 혈통이 가문을 만드는
기준이었다.
20세기는 돈이 가문을 만드는
기준이 되었다(245)

사람은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서
목숨을 바친다는 말이 있다(253)

일본 경제학자 오마에 겐이치의
"난문쾌답"에서
사람을 바꾸는 방법을 이야기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을 바꾸는 방법은
세 가지 뿐이다.
시간을 달리 쓰는 것,
사는 곳을 바꾸는 것,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것,
이것이 아니면 인간은 바뀌지 않는다(255)

우리가 매일 하는 선택이 바로 우리의 삶이다.
그래서 우리가 매일 결정하는 선택이
우리 운명을 결정한다(259)

너의 선택이 너의 인생이 된다.
현재 너의 삶은 과거의 선택이고,
미래의 삶은 현재 네 선택에 달렸다.
오늘의 삶이 힘들다면,
네가 과거에 했던
잘못된 선택을 되짚어 보아야 한다(260)

8차선 고속도로 말고
구불구불 2차선 국도를 선택하라.
인생길은 되도록 구불구불 돌아가는 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젊었을 때는 더 그렇다(261)

네 친구가 미친 놈이라고 말하는 걸
선택하라.
너의 또래가 가지 않는 곳이 블루오션이다.
너의 또래가 떼로 몰려가는 곳은
레드오션이다.
레드오션은 열심히 해도
이윤이 적은 시장이다(261)

부자는 당장의 욕망을 참고
때를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다(262)

5. 돈 공부편


부자라는 위치에 올라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은 더 중요하다(284)

시간과 함께 순환하기를 거부하고
자연의 섭리에 반하는 '썩지않는 빵'이
우리의 몸과 마음을 병들게 한다.
돈은 더 그렇다. 경제 안에서는
순환하는 돈이 건강하고, 유익한 돈이다(28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