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3)
-
📚관계력 | 김단 | 클레이하우스(2023)
이 책은 우연히 어느 북커뮤니티의 사람들이 추천한 책이라 읽게 되었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40대의 나이에도 여전히 시행착오를 거치며 성숙되어 가는 필자에게 많은 도움이 된 책이다. 부모는 자식의 거울이 맞다. 그러나 그 거울을 들여다보는 것이 비참하다면 단호하게 그 거울을 깨뜨려야 한다. 원망의 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9) 1. 나를 만드는 최초의 관계 모든 인간관계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시작된다.(13) 아기는 출생 후 첫 2년 동안 뇌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의 80퍼센트 이상을 완성하고, 그렇게 완성된 중추신경계를 바탕으로 향후 약 8년간의 다양한 경험을 내면화해 ‘성격’이란 것을 만들어나간다. (16) 발달 심리학자 매리 에인스워스Mary Ainsworth는 이 애착이론을 발..
2025.08.15 -
📚뭉크씨, 도파민 과잉입니다 | 안철우 | 김영사(2022)
저자는 강남 세브란스 병원 내분비과 교수로 명화를 통해 14가지 호르몬을 소개하고 초상화를 보고 호르몬 문제를 진단하고, 풍경화가 불러일으키는 느낌을 호르몬의 특징과 관련지어 이야기합니다. 정말 많은 호르몬들이 있는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호르몬도 그 기능이 무엇인지 밝혀진 것은 아니고,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영역입니다. 하지만 이 책 속의 여러 그림 작품들로 인해 딱딱한 호르몬 이야기를 부드럽고 흥미롭게 풀어내어 호르몬과 좀 더 친숙해진 느낌입니다. 호르몬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은 역할을 합니다. 특히 신진대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호르몬을 빼놓고는 다양한 신체 특징과 감정 변화를 설명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한 사람의 몸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것도 호르몬 영향 때문입니..
2024.06.01 -
📚자폐증 회복(생의학적 치료) | Sonya Doherty, ND | 한미의학
😊자폐증이나 ADHD 등에 대한 원인과 관점들이 시대가 변화하면서 계속 연구되고 발전되고 있습니다. 필자도 특수교육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그 현장에서 아이들을 만나는 사람으로서 관심 있게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데 최근에는 생의학적이나 영양학적, 또는 자연의학 관점으로 바라보고 개선하는 방법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아주 바람직하게 생각합니다. 이 책 또한 그런 관점을 바탕으로 쓰인 책이기도 하며, 자폐 아이를 키워 본 엄마이자 한 의사의 이야기이기에 더욱더 신뢰감이 듭니다. 이 책을 근거로 아직도 약물과 진단에만 의존하는 부모들을 현장에서 많이 만나곤 하는데, 그들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어 기쁩니다. 1장. 어디서부터 시작할까요? 1차 정보 탐색을 위하여 의학논문 등을 찾아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인간..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