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9. 8. 08:24ㆍ책속진주(몸경영)
음식으로 폭력적이고 산만한 아이들을 치유할 수 있을까? 물론이다(7)
태어나서 10년 동안 먹은 음식이 평생을 결정한다(11)
암예방을 위해서 최소한 10살 이전에 개입해야 한다(13)
80퍼센트가 넘는 미국인이 심장병, 당뇨병, 암으로 사망한다. 모두 영양에 대한 무지로 인한 질병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17)
뇌와 눈은 주로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세포가 세포막 유동성을 유지하고 화학적 메신저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오메가6와 오메가 3 지방이 적절하게 필요하다(34)
다행히 우리의 뇌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연하기 때문에 뒤늦게라도 건강한 식습관으로 바꾸면 뇌기능이 좋아진다(35)
과잉행동증후군이 있을 경우, DHA보충제를 보통 아이들보다 2배를 먹어야 한다(39)
항산화제와 파이토케미컬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먹으면 소아 천식과 아토피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41)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주 원인은 유제품이다. 우유는 중이염을 유발하는 코막힘을 지속시킨다(45)
가족의 식사를 개선하기 위하여 가장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일은 동물성식품에서 나오는 단백질과 지방을 줄이고 식물성 식품에서 나오는 단백질을 늘리는 것이다(53)
우리 몸은 채소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칼슘을 흡수한다(61)
의과대학에서 들은 첫 약학 수업에서 교수님은 모든 약은 독소를 가지고 있고, 의사의 임무는 해를 끼치지 않는 데 있다고 말씀하셨다(67)
영양소는 특별한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다. 단지 몸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몸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질병 예방 능력이 커진다(69)
항생제는 설사, 소화불량, 효모의 과대성장, 뼈 골수 억제, 간질, 신장 손상, 대장영, 생명을 위협하는 알레르기성 반응 등을 초래할 수 있다(72)
항생제를 반복해서 사용하면 감염이 반복되고, 가벼운 질병이 악성 박테리아를 가진 심각한 질병으로 바뀔 수 있다(74)
3천 명이 넘는 아이들을 추적한 결과 항생제가 중이염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중이염 예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모유였다(77)
어려서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이 어른이 되어 크론병에 걸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79)
내장 세균이 크론병과 자기면역질환의 발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79)
자연식 식사와 함께 2년동안 모유수유를 하는 것이 약을 멀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80)
건강한 인체는 항생제 없이 질병과 싸우고 회복하는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몸이 스스로 치료하도록 내버려 두면 회복이 다소 느릴 수 있다. 그러나 더 완전하게 치료된다.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은 아이들이 세균에 의한 심각한 질병과 합병증에도 더 강하다(80)
식물에서 파생한 영양소가 부족하면 면역 기능 장애가 일어난다(81)
인간은 무슨 영양이 필요한지 잘 모르기때문에 고생을 한다(82)
최근 몇 년 동안 과학자들은 파이토케미컬이라고 불리는 미량영양소를 발견했다. 이 영양소는 암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영양소는 발암물질을 해독하고, 프리래디컬(활성산소)을 비활성화하며 DNA손상을 수리하는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협력한다(85)
일생동안 올바르게 먹으면 건강하고 젊게 살 수 있다. 약봉지와 수술에 의지한 채 고생스럽게 노후를 보낼 이유가 없다. 의학은 질병의 진행과 노화를 늦추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우수한 영양이 젊음의 유일한 기초이다(87)
아이들이 먹는 치즈, 우유 같은 대부분의 동물성 식품은 전부 포화지방 함량이 매우 높다. 포화지방 섭취는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89)
치즈가 가장 많은 포화지방을 함유하고 있다(91)
건강에 좋지않은 식사는 어른의 몸보다는 어린이의 몸에 훨씬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 어리면 어릴수록 손상의 잠재성은 그만큼 더 크다(100)
식습관은 암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103)
녹색 채소 섭취가 가장 강력한 예방효과(105)
지금 먹은 음식이 24년 후에 영향을 미친다(109)
어려서 식물성 섬유소를 많이 섭취한 사람들은 대장암에 걸릴 가능성이 낮다. 최근의 연구는 어려서 과일을 먹는 것이 나중에 암 예방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109)
유제품을 더 많이 먹을수록 더 많은 호르몬을 섭취하게 된다. 치즈는 우유의 부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한다(113)
조숙한 성적 발달을 보이는 소녀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1살에서 8살 사이에 동물성 식품을 더 많이 먹고 채소를 덜 먹은 소녀들이 일찍 초경과 사춘기를 경험하기 쉽다고 보고했다(117)
섬유소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의 위에 이식된 유익한 박테리아는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쉽게 대변으로 배설된다(119)
사람은 농산물보다 오염된 동물성 식품에서 더 많은 화학물질을 얻게 된다. 가능하면 어린아이들에게 유기농산물을 먹이려고 노력하는 게 현명하다(126)
가족들의 식습관을 바꾸는 비결(155)
- 동물성 식품을 식물성 식품으로
- 설탕, 소금, 흰 밀가루 치우기
- 치즈와 버터를 집에 두지 말기
- 의심스러운 물에서 잡은 물고기를 피한다
- 튀긴 음식과 구운 음식을 먹지 않는다
- 건강에 좋은 스낵을 먹는다
부모는 아이들이 먹는 음식을 단속하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부모가 먹는 음식을 단속해야 한다(157)
집 안에 있는 식품을 통제하는 것이 아이들의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방법이다(160)
본래 배고프면 먹어야 하는데 우리 사회에서는 시계가 먹는 시간을 정해 준다. 끼니를 준비한 바로 그 시간에 우리는 아이들이 배고프기를 기대한다. (161)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좋아하는 데는 8번에서 15번 정도 맛보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가족들이 먹고 있는 좋은 음식을 아이가 계속해서 맛보게 하라. 조금만 인내심을 발휘하면 별 어려움 없이 아이에게 채소를 많이 먹일 수 있다. (170)
완전한 채식주의는 비타민 B12가 부족하다. 만일 완전한 채식주의 식사를 하고 있다면 복합 비타민이나 강화 두유 같은 B12 원천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 (175)
채식주의자가 다양한 식물성 단백질을 먹으면 고기나 다른 동물성 음식을 먹는 사람만큼 단백질 섭취가 양호하다. 곡물, 두류, 씨앗, 견과류, 채소에서 얻는 단백질 혼합물은 한 식품에서 부족한 것을 다른 것에서 보충하도록 하여 전체 아미노산을 골고루 공급한다. (177)
좋은 음식은 여드름 없는 건강한 얼굴을 만든다. 저 영양 식사는 여드름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의 감염과 성장을 돕는다. 여드름은 음식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183)
식품을 굽거나 튀길 때 색깔이 누렇게 변하는데, 이때 암을 유발하는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된다. 때문에 찌거나 끓이는 요리가 더 좋다.(195)
'책속진주(몸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온 다이어트 | 박용우 | 루미너스(2018) (1) | 2025.06.08 |
---|---|
📚천연VS합성 똑소리 나는 비타민 선택법 | 브라이언R.클레멘트 | 전나무숲(2023) (0) | 2025.05.20 |
📚텔로미어 | 마이클포셀 | 쌤앤파커스(2013) (0) | 2025.05.09 |
📚집밥의 힘 | SBS스페셜제작팀 | 리더스북(2010) (0) | 2025.05.08 |
📚10퍼센트 인간 | 앨러나 콜렌 | 시공사(2016) (1)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