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플라이어 | 리즈 와이즈먼 | 한국경제신문사(2012년)

2025. 7. 2. 17:07책속진주(리더십,경제경영)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는 막대한 양의 자원을 끌어내는 방법을 알아낸 조직은 일하기 즐거운 장소가 될 뿐만 아니라 경쟁자도 능가할 수 있다(16) ​

 

사람들이 멀티플라이어 주변에 있으면 더 똑똑해지고 더 유능해진다는 점이다(17) ​

 

우리의 조직 안에는 지금 눈에 보이는 것보다 그리고 지금 사용하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능력이 존재한다(21) ​

 

리더의 역할은 모든 것을 알고 지휘하고 명령을 내리던 것에서 다른 사람의 능력을 끌어내고 발휘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바뀌고 있다(25)

 

세상에는 아랫사람을 더 훌륭하고 똑똑한 사람으로 만드는 인도자가 있다(37) ​

 

지적 서열의 맨 꼭대기에 있는 사람은 천재가 아니라 천재를 만드는 사람임을 잘 알고 있다(39) ​

 

팀원들의 지성을 높인 방법은 적극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43) ​

 

리더가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이 알고 있는 것에 얼마나 접근할 수 있는가이다. 팀원들이 얼마나 똑똑한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리더가 팀원들의 지성을 얼마만큼 끌어내 사용할 수 있는가이다(45) ​

 

디미니셔는 사람을 잔뜩 끌어오는 데 열심이다. 주어진 일은 완수할지 모르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되지 않고 낭비된다(52) ​

 

새로운 자원을 추가로 투입하고 투입한 만큼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있는 사람들의 능력을 더 효율적으로 끌어내 급성장을 달성하는 것이 곱셈의 논리다(54)

 

멀티플라이어의 5가지 원칙(60~63)

첫째, 인재를 끌어당기고 최대한 활용한다.

둘째, 최고의 생각을 요구하는 열성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셋째, 도전의 영역을 넓힌다.

넷째, 토론을 통해 결정한다.

다섯째,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심어준다

 

멀티플라이어는 유머를 이용해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고 사람들 속에 있는 타고난 에너지와 지성에 불을 붙인다(66) ​

 

잠재된 능력들이 잠자고 있었고, 조직은 도전할 일거리를 받지 못한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67)

 

자석처럼 인재를 끌어들이고 최대한 키우는 리더가 있는가 하면, 인재들을 데려와 자신의 제국을 건설하는 데 쓰는 리더도 있다(80) ​

 

재능자석의 4가지 실천사항(90)

첫째, 어느 곳에서든 인재를 찾는다

둘째, 사람들의 타고난 재능을 발견한다.

셋째, 재능을 충분히 활용한다.

넷째, 방해자를 제거한다. ​

 

타고난 재능을 탐색하는 일은 사람을 주의깊게 관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가 행동하는 것을 보면서 어떤 일을 할 때 진심으로 열중하는지, 어떤 일에 에너지가 자연스럽게 흘러가는지 지켜본다(97) ​

 

방해자를 제거한다. 다른 사람의 성장을 방해하고 지연시키는 사람을 제거한다는 뜻이다. 어느 조직이나 화단의 잡초처럼 자원을 낭비하며 사람들의 성장을 가로막는 사람이 꼭 있다(103) ​

 

당신의 조직에서도 가장 똑똑한 사람으로 인해 조직 전체가 똑똑해지는 것이 방해받고 있지는 않은가? 그리고 방해자를 제거하는 것을 너무 미적거리고 있지는 않은가?(106) ​

 

재능관찰 3단계(114)

1단계.확인한다

2단계.시험한다

3단계.일을 시킨다

 

리더의 무게 중심은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무대에 오르게 하는 것이다(123) ​

 

해방자의 3가지 실천사항(139)

첫째,공간을 제공한다

둘째,최선의 노력을 요구한다.

셋째,빠른 속도의 학습 사이클을 만든다. ​

 

리더가 일관성이 있으면, 사람들은 언제 뛰어들어야 할지 알고 따라서 조직에 기여할 수 있다. 조직을 일관성있게 운영하는 것은 해방자의 실천사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142)

 

행동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2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예측 가능하게 한다.

둘째, 안전감을 준다(143) ​

 

당신의 실수를 알려라 실험과 배움이 있는 조직을 원한다면 실수를 공유하는 것보다 쉬운 방법은 없다. 리더가 개인적인 실수를 시인하고 말할 때 사람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수를 통해 배우고 품위있게 회복해 그 결과 역량이 커진다(159)

 

팀을 만들기 위해 그가 한 일이라곤 기회를 설명하는 것뿐이었다(168) ​

 

멀티플라이어는 답을 알려주는 역할이 아니라 도전을 권하는 역할을 한다. 발전의 기회를 보여주고 도전하고 능력을 발휘해 목표를 이루게 하는 것이 임무라 생각한다(174)

 

도전에 맞서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가 현재의 한계와 능력을 넘어서야 하기 때문세 자신감은 꼭 필요하다(191) ​

 

도전을 시킨다는 것은 어떤 일을 하라고 지시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이제까지 아무도 답하지 못한 어려운 질문을 던지고 물러서서 사람들 스스로 질문을 생각해보고 주인이 되어 답을 찾을 시간을 주는 것이다(194) ​

 

디미니셔는 일을 시키면서 감사관 역할을 한다(199) ​

 

멀티플라이어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바로 '지적 호기심'이었다. 그가 사람들의 재능을 끌어낼 수 있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호기심이 많고 학습에 불을 붙이기 때문이다(204) ​

 

도전자 리더로 나아가는 첫 단계는 질문에 대답하는 것을 멈추고 반대로 사람들에게 질문을 하는 것이다(205)

 

멀티플라이어는 자신이 아는 것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을 어떻게 알아낼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218) ​

 

합동 탐구에는 3가지 규칙이 있다.(242)

첫째, 토론의 리더는 오로지 질문만 한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의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모든 사람이 리더가 현장에 없어도 일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중점을 둔다

 

점수판이 눈에 보일 때 사람들은 책임감을 느낀다. 운동경기든, 사업이든, 지역봉사활동이든 성공을 눈에 보이게 표시해주면 능력을 발휘하고 에너지를 집중한다(277)

 

위대한 지도자는 비전과 일상의 간격을 메워주는 교육자이어야 한다. -헨리 키신저(296) ​

 

흥미롭게도 회의 시간에 말을 가장 많이 하는 사람은 가장 게으른 사람이었다(316) ​

 

상사의 침묵이 공간을 만든다(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