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출현 | 황준원 | 파지트(2022)

2024. 11. 21. 11:29책속진주(교육,시대경영)

 

한국사람 5명 1명은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예측되고 있다. 2060년에는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43.9%가 될 것이다(p.15) ​

 

1955년의 출생아 수는 약 90만 명, 그 이후 1971년까지 매해 90~100만 명의 아이들이 태어났습니다. 이들이 모두 노인이 되어 건강이상이 생긴다면 그때 드는 의료 관련 비용만 해도 실로 엄청날 것입니다(p.22) ​

 

노후파산 이유는 다양합니다. 배우자나 부모님의 의료비용을 감당하다가 결국 파산을 하는 경우, 젊었을 때 충분한 자산을 쌓아두지 못한 경우, 통장에 기초생활비 지급 기준을 살짝 넘어가는 돈이 있어 정부의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 등입니다(p.23) ​

 

보통 자녀들이 50대일 때 간병 이직 상황이 많다고 합니다. 이는 가족의 존재가 오히려 노후의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는 끔찍한 사실을 보여줍니다(p.25) ​

 

나이가 들면서 식사량이 줄어들어 오히려 영양소는 더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p.33) ​

 

2065년이 되면 한국이 세계에서 총부양비가 가장 높은 국가가 되고 심지어 일본의 수치를 뛰어넘게 된다는 것입니다(p.43)

 

​새로운 젊은 세대는 부를 축적할 기회를 상실한 세대일지도 모릅니다. 그들은 탄탄한 정규직의 시대가 아니라 불안정한 비정규직의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p.58) ​

 

사람이 떠난 지역과 빈 집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미래에 있어서 큰 과제이자 동시에 기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p.63) ​

 

아이를 출산하지 않을 이유(pp.65 ~67)

1.아이교육에 너무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들어간다.

2. 집값이 너무 비싸다.

3. 젊은 층이 취업을 하고 경제적으로 자리를 잡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개인의 삶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5. 기후위기 ​

 

인구가 감소하면 소비가 감소하고, 그러면 수요가 적어져 생산을 감소시키고, 그러면 일할 사람이 덜 필요하니 실업률은 증가하고, 실업자들이 늘어나면 소비여력이 낮아져 소비가 다시 감소하고,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되면 기업들은 버텨낼 수 없어 폐업을 한다(p.73)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인구문제 연구소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소멸할 국가로 한국을 꼽기도 했습니다. 계산대로라면 대한민국은 2700년대에 가장 먼저 소멸하게 됩니다(p.75) ​

 

대학들의 피 말리는 생존경쟁은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봅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교가 망한다더니, 그 상황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p.79) ​

 

학원에서는 '너희들 좋은 대학 못가면 인생 망하는 거야'라는 공포마케팅으로 아이들이 다른 생각을 할 수 없게 만듭니다. 학생들이 공부를 안 하거나 학원을 그만두면 자신들이 돈을 벌 수 없으니까요(p.81) ​

 

'기다리던 죽음'에서 '준비하는 죽음'으로 바뀝니다. 이제는 나의 죽음을 내가 스스로 준비해야하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p.87)

 

Q.2017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제일 흔한 가구 구조는?

1️⃣1인가구 2️⃣2인가구 3️⃣3인가구 4️⃣4인가구

한국에서 가장 흔한 가구는 1인 가구였습니다(p.98) ​

 

1인 가구 사회의 기회들로써 간편식 시장, 취미시장, 자기 계발 시장, 엔터테인먼트 등 혼자 사는 1인 가구들의 외로움을 해소해 줄 시장이 성장할 것(p.103) ​

 

우리 친구를 대신하는 범인은 바로 디지털콘텐츠입니다(p.106) ​

 

그 사람에 대해 알고싶다면 그 사람의 친구를 보라는 말이 있죠? 이제는 오히려 이렇게 바뀌어야 맞습니다. 그 사람에 대해 알고 싶다면 그 사람의 인스타그램 팔로우 수 목록, 유튜브 구독목록을 보라(p.108) ​

 

초연결 관계란? 한 개인이 오프라인의 인간관계 수를 초월해 온라인 디지털 세계에서 피상적 다수 관계를 형성하며 영향력을 주고받는 것(p.110) ​

 

초연결관계의 특징은 첫번 째, 영향력을 주고받는 사람들의 수가 급진적으로 증가한다는 겁니다. 두 번째, 다수와 다수의 관계가 간접적이며 피상적이라는 겁니다. 세 번째 특징은 실제 오프라인 친구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기도 한다는 겁니다(p.112) ​

 

개개인에게는 그만큼 관심과 영향력이 중요해진다는 의미이며, 앞으로도 미래사회에서 관심과 영향력은 결국 개인의 자본으로써 역할을 이어갈 겁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여러분만의 관심사와 재능으로 영향력을 키우는 겁니다(p.117) ​

 

2025년이 되면 미국 가정 내 반려동물을 위한 소비가 자녀교육을 위한 지출보다 세 배 이상 성장할 것(p.130) ​

 

'폴리아모리'란? (p.156)

한 사람이 두 사람 이상과 연인관계를 맺는 형태도 있는데 이를 '폴리아모리' 혹은 '다자연애'라고도 한다.

-예시: 영화-당신과 나 그리고 그녀 ​

 

접속의 시대는 한 마디로 모든 인간 경험의 상품화가 가속화되는 시대이다(p163) ​

 

미래사회에 가장 걱정되는 요소는 지나치게 빠른 한국의 고령화와 인구감소, 그리고 기후위기와 환경위기입니다(p.178) ​

 

21세기 중반이 되면 온난화에 의해 지금과 같우 10만 명당 14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겁니다. 그리고 온난화가 지속되면 21세기말에는 10만 명 당 7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게 되면서 코로나19보다 훨씬 심각한 그야말로 재앙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죠(p.182) ​

 

지구의 기온이 현재보다 1.5도 이상 오르게 되면 회복이 불가능한 재앙을 맞이하게 될 수 있다는 경고인 것이죠. 현재까지 기온이 이미 1.09도 상승했으니 우리에게는 1.5도까지 0.4도의 여유밖에 남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p.184) ​

 

현대인들이 고기를 지나치게 많이 먹다보니 이것이 기후위기에 꽤나 심각한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것이죠(p.216) ​

 

축산업에 필요한 사료를 생산하고 고기를 가공하고 유통하는 데 많은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기후 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겁니다(p.218)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미래 사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실제와 가상의 구별이 어려워진다는 점이다(p.248) ​

 

미래 사회에 가장 성장할 분야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휴먼이 아닐까 싶습니다(p.261) ​

 

디지털 휴먼이 더욱 발달하고 인기를 끌게 된다면 앞으로는 광고모델을 섭외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모델을 직접 만드는 시대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p.266) ​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정말 넓게 보자면 그 안에는 게임, VR •AR, SNS, E-커머스, 아바타, 디지털 트윈 등 수많은 디지털 가상생활 기술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p.284) ​

 

NFT란 각각 가치가 다른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거래이력 등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겁니다(p.303)

 

​ OTA는 스마트카의 핵심기능입니다. OTA서비스가 가장 화려한 대표적 사례가 바로 테슬라입니다. OTA의 화룡점정은 바로 자율주행 기능의 업데이트입니다(p.341)

 

자동차를 살 것인가, 바퀴 달린 스마트폰을 살 것인가! 지금 자동차업계의 상황은 과거 스마트폰이 처음 보급되던 시기의 상황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p.346) ​

 

테슬라를 통해 배우는 기대감 마케팅; 테슬라는 심지어 광고도 하지 않습니다.

요즘 잘 나가는 기업은 기대감을 판매한다 -예; 넷플릭스, 애플의 애플 피트니스 플러스, 아마존의 에코 AI스피커, 알렉사 가드, 피트니스계의 넷플릭스 펠로톤 등(p.351) ​

 

요즘 시대를 흔히 경험의 시대라고 정의하기도 합니다.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p.356) ​

 

지금 자동차를 샀다가 나중에 더 좋은 자동차가 나오면 후회할 테니 구매를 망설이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테슬라처럼 기능과 서비스를 계속 업데이트해 준다면 이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해 줄 수 있겠죠(p.35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