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2)
-
📚초격차(리더의 질문) | 권오현 | 쌤앤파커스(2020)
삼성을 비롯해 우리나라 기업 대부분은 지난 20~30년 동안 '관리' 중심의 경영을 해왔고, 이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런 기업 문화에서 '일 잘하는 사람'은 '실수 안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고착화되었습니다(18) 지금은 카피할 게 없는 시대입니다. 다른 나라, 다른 기업과 유사한 사업 모델을 따라 하는 기업이 여전히 있기는 하지만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20) 경영자는 '최소의 인풋'으로 '최대의 아웃풋'을 내기 위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행하며 모든 것을 책임지는 사람입니다(23) 경영에서 실적이 중요한 것은 맞지만 실적만을 강조하면 장기적으로는 폐해를 남길 가능성이 크다는..
2025.05.11 -
📚하버드 마지막 강의 | 제임스라이언 | 비즈니스북스(2017)
현대 무용의 거장 마사 그레이엄이 1990년 휠체어를 타고 김포공항으로 입국할 때 "무용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한국의 무용학도들에게 한 말씀해 주시죠. "라는 기자의 질문에 한 마디로 잘라 말한 대답이 생각난다. "그냥 하세요!"(13) 수준 높은 질문은 수준 높은 삶을 만든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더 좋은 질문을 하기 때문에 더 좋은 삶을 얻는다(18). 의문은 현재의 삶에 머물게 하지만, 질문은 미래의 삶을 바꾼다(21).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모든 일의 시작이다. 성급히 결론짓지 말 것! 먼저 이해하고, 그다음 판단하라(26). 첫 번째 질문 : 잠깐만, 뭐라고요? '잠깐만요, 뭐라고요?'가 굉장히 훌륭한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매우 단순해 보이는 말이지만, 사실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