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7. 16:00ㆍ책속진주(영혼,마음경영)
우리는 지금 사는 방식대로 변하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을 '앤드 오브 히스토리 일루전 (End of history illusion)'이라고 부른다(17)
이젠 워라벨(Work Life Balance)이 아니라 워라클(Work Life Cycle)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뜨고 있다. 일과 삶은 균형을 맞추는 대상이 아니라 순환의 대상이라는 얘기다(19)
사람은 멍을 때리거나 빈둥거릴 때 뇌에서 '디폴트 모드'라는 네트워크가 활성화된다. 이때 인간의 뇌는 가장 독창적으로 생각하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한다(23)
세계은행은 산업 때문에 발생하는 수질오염 중 20%가 의류산업 때문이라고 밝혔다. 맥킨지는 전체 탄소 배출량의 10%는 의류업계에서 발생한다고 추산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화학약품의 25%는 의류업계가 사용한다(44)
이렇게 이런저런 이유로 시간은 항상 부족하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시간 기근'이라고 부른다. 문제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일수록 걱정이 많고 우울하다는 점이다. 그런 사람은 운동도 덜하고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더 많이 먹는다(49)
선택의 폭이 넓으면 좋을 것 같지만 사실 너무 많은 선택지는 선택장애 또는 결정장애를 불러일으킨다는 얘기다(55)
지인에서 친구가 되려면 50시간의 친교가 필요하고 진정한 친구가 되려면 여기에 40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한 친구가 되려면 모두 200시간을 같이 보내야 한다 -캔자스대 제프리홀 교수의 연구(79)
느리게 자란 나무가 튼튼하게 큰다(81)
의사로서 환자를 봐오면서 마주친 가장 흔한 병은 심장병도 당뇨병도 아닌 외로움이었다고 했다(85)
행동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가 필요하다(92~95)
첫째는 하고싶은 일을 골라라.
둘째는 작고 단순하게 시작하라.
셋째는 프롬프트를 디자인하라. (프롬프트란, 행동을 바꾸도록 고무하고 자극하는 걸 말한다)
넷째는 자신을 격려하라.
요즘 사람들은 '부러움 증폭기(다른 말로 스마트폰)'를 주머니에 넣고 다닌다. 종일 들고 다니며 잘 때는 베개 옆에 두고 잔다. 언제든지 누군가 부러워할 수 있는 준비태세를 갖추고 사는 셈이다(102)
많은 사람이 페이스북을 능동적(글과 사진을 올리고 '좋아요'를 누르며 댓글을 다는 것)이 아닌 수동적(남들의 포스팅을 구경만 하는 것)으로 이용한다. 그저 남들이 올린 글을 읽기만 하는 사람이 많다는 얘기다. 이를 '관음증적인 구경'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소셜미디어를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수동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다는 연구가 있다(104)
심리학자들은 '네 번의 법칙'을 기억하라고 말한다. 많은 연구 결과는 부정적인 사건 한 번이 긍정적인 일의 세 배에 이르는 영향을 미친다는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 예를 들면, 사업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 명의 불만족스러운 고객마다 네 명의 만족한 고객을 만들어야 한다(107~108)
부정을 줄이고 긍정을 늘리는 건 건강한 삶을 사는 지혜다(109)
행복해지고 싶다면 물건을 사지 말고 경험을 사라고 조언한다. -코넬대 심리학 교수 토마스 길로비치(110)
경험에 대한 기대는 흥분과 즐거움을 주고 소유에 대한 기대는 마음을 조급하게 만든다(112)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사팀에서는 한 부서에만 계속 일한 직원보다 다른 부서로 옮겨 일하는 직원이 더 몰입도가 높고 회사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발견했다(123)
바로 밑의 부하들과 짧게라도 자주 일대일로 만나는 매니저들이 성과가 좋았다. 또 바로 직속 상사와 자주 만나는 직원들은 상사를 자주 만나지 않는 직원들에 비해 상사와 피드백을 더 잘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27)
개인이든 기업이든 지속가능하지 않은 방식은 단기간에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169)
바이든대통령의 말더듬이 극복사례: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남을 이기고 앞서가는 능력보다 타인의 고통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한 시대이기 때문이다(175)
양육은 부모 기분따라, 교육 정책은 정권 기조 따라, 업무는 상사 입맛 따라 하다 보면 눈치 보는 게 중요해진다. 한국 사회의 많은 문제가 눈치보기와 관련이 있다고 해도 지나친 과장은 아닐 것이다. 눈치에 의존하게 되면 진짜 실력은 키울 수 없기 때문이다(180)
스마트시대, 부자들은 인간관계에 돈을 투자한다(181)
중산층과 빈곤층은 화면과 기계에 삶을 의지하고 부자들은 인간과 대면하기 위해서 기꺼이 돈을 지급하는 세상이 된다는 얘기다(184)
"어릴 때 위험을 보여주고 감수하도록 가르치지 않으면 커서 위험을 배울 수 없습니다." 과보호는 실패를 감당하지 못하는 아이를 길러낸다(188)
아이들은 가만히 봐주는 것만으로도 안정감을 느낀다(194)
어느 세대든 아이들은 약간의 무관심 속에서 더 잘 자란다(195)
열정은 찾는 게 아니다. 개발하는 거고, 만드는 거다(203)
관심사 성장이론과 고정이론(203)
관심사 성장 이론: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믿는 이론 관심사
고정 이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핵심적인 관심사가 정해져 있으므로 그것을 발견하기만 하면 된다는 이론
아무리 좋아하는 일이라 하더라도 일을 하다 보면 때로는 귀찮고 싫은 경우는 어떻게든 생기기 마련이다(204)
강렬한 몰입은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즉, 조금은 어려운 일을 해야 몰입을 잘할 수 있다(210)
행복은 순간적이며 금방 사라지는 감정이고 만족은 오랜 시간동안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서 목적을 달성하면 느끼는 감정이다(220)
가난한 사람이 머리가 나쁜 게 아니고 가난한 상태가 머리를 나쁘게 만든다(223)
가난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단기적인 보상에 집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7)
다른 사람을 돕는 아이들이 그렇지않은 아이들보다 결국에는 더 많은 걸 성취한다는 연구결과도 많다(234)
행운을 부르는 키워드 세 개는 주의집중, 끈질김, 그리고 긍정이다(243)
'책속진주(영혼,마음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아 울더라도 뿌려야 한다 | 이재철 | 홍성사(2001) (1) | 2025.03.11 |
---|---|
📚인생 절반은 나답게 | 사이토 다카시 | 심플라이프(2019) (0) | 2025.03.05 |
📚멘탈의 연금술 | 보도섀퍼 | 토네이도(2020) (0) | 2025.02.24 |
📚사람이 선물이다 | 조정민 | 두란노(2011) (0) | 2025.02.17 |
📚미라클모닝 | 할 엘로드 | 한빛비즈(2022) (0) | 2025.01.24 |